은행 희망퇴직, 이자 장사 논란 속 축소된 조건

 

은행, 희망퇴직, 조건 축소, 특별퇴직금, 외부 압박


최근 4대 시중은행인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이 희망퇴직 조건을 축소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는 최근 지속된 '이자 장사' 비판을 수용하고 결정된 것으로 해석된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 특별퇴직금 상·하단 모두 축소


금융권 소식통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희망퇴직 신청을 29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받기로 결정했다. 근무기간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특별퇴직금 규모는 전년에 비해 상·하단이 모두 줄어든 18~31개월치로 조정되었다. 우리은행도 마찬가지로 내년 1월 9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며, 특별퇴직금은 24~31개월어치로 축소되었다.


하나은행과 신한은행도 축소 조처


이와 별개로 희망퇴직을 받는 다른 두 은행도 조건 축소에 나섰다. 하나은행은 28일부터 희망자를 받으며, 전년 24~36개월에서 24~31개월로 축소했다. 신한은행은 올해 8월 9~36개월에서 7~31개월로 기간을 축소하였다.


대상자 조건 강화


뿐만 아니라 대상자 조건도 강화되었다. 신한은행은 희망퇴직 신청 가능 연령을 1983년생(40세)부터 1968년생(56세)으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KB국민은행은 최소 나이를 1972년생으로 유지하면서 51세에서 52세로, 하나은행은 1973년생에서 1972년생(50→52세), 우리은행은 1980년생에서 1978년생(43→46세)으로 변경했다.


외부 압박에 의한 결정과 불경기의 영향


은행들이 희망퇴직 조건을 축소한 배경에는 '외부의 따가운 시선 때문에 은행 희망퇴직 조건이 후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계속해서 제기되었다. 이는 퇴직자 예상 수가 작아진 올해 초의 결과와도 연관이 있으며, 불경기로 인해 퇴직을 주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망은 불투명


현재로서는 4대 은행이 희망퇴직 규모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불경기와 외부 압박으로 인해 상황은 불투명하다. 특히, 퇴직 조건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은행원들도 있어 전반적인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11월에 시작된 농협은행의 희망퇴직 절차에서도 특별퇴직금 지급 규모가 대폭 축소되면서 확정 인원이 감소한 예가 있어, 은행들의 퇴직 정책에 대한 논의가 계속될 전망이다.

댓글